로고 이미지

테마체험여행

테마체험여행

[유적지]적요함이 깃든 제주유학의 성지, 제주향교

[유적지]적요함이 깃든 제주유학의 성지, 제주향교

by 운영자 2008.03.03

며칠 전 최인호 작가의 ‘유림’ 을 읽었다. 유교의 원류인 공자에서부터 이를 완성한 퇴계까지 2천5백년 동양사상의 백미가 단 6권의 책 속에 고스란히 담겨있었다.
인류역사에 있어 크나큰 족적을 남긴 인물들과 은은한 묵향처럼 후세에 전해지고 있는 그들의 사상, 시간의 굴레 속에서 빛을 잃어가던 인류의 근본적 가치 그리고....유교(儒敎)
‘대패처럼 문장을 쓸 줄 아는 작가’ 라는 조정린 선생의 말처럼 한 획 한 획 그어진 그의 힘찬 문장에서 2천5백년 동양사상의 진수를 감히 느낄 수 있었노라고 말하고 싶다.
그렇게 며칠 간 유교의 적요한 숲을 거닐며 알 수 없는 잔향에 흠뻑 빠져들때 쯤 문득 ‘제주향교’가 생각났다. 도심지 한복판에서 겸양한 모습으로 방문객들을 맞고 있는 제주 공교(孔敎)의 성지가...

제주시 용담1동 ‘대(大)’ 제주중학교(절대 기자가 제주중학교를 졸업해서 이런 수식어를 사용한 것은 아님-.-;) 옆에 위치한 제주향교는 ‘제주 최초의 학교’ 라는 수식어와 함께 제주 유학의 본산(本山)으로 불리 우는 곳이다.
위화도에서 회군하며 망조에 접어든 고려왕조의 뒤통수를 화끈하게 후려갈긴 태조 이성계가 조선의 개벽을 알린, 1392년 설립된 제주 향교는 공자를 비롯한 선현들에 대한 제사와 지방민의 교화를 목적으로 세워진 교육기관으로 유교 경전에 대한 학습과 함께 제주지역 선비 및 유생들의 학문토론의 장으로도 이용됐다. 특히 조선의 국시(國是)가 유교였던 까닭에 인재 양성과 학문 수양의 역할을 담당하며 지금의 강남8학군 마냥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군림할 수 있었다.
당시 제주에는 제주향교 외에도 대정과 정의, 두 곳의 향교가 더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시골지역의 소박한 규모, 즉 한양의 성균관이 올스타, 제주향교가 메이저라면 지방의 두 향교는 더블에이 혹은 싱글 에이 수준이었던 탓에 제주향교는 명실상부 제주를 대표하는 교육기관이었다. 그러나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권불십년(權不十年)이라 했던가. 제주 유교의 성지로 독보적 위치에 있던 제주향교에도 크나큰 위기가 닥쳤으니.... 조선 중엽에 이르자 대표적 사교육 기관인 서원들이 우후죽순 생겨나기 시작한 것!
서원의 등장으로 인해 당시 주머니 사정이 여의치 않았던 학부모들은 사교육비를 마련키 위해 맞벌이에 나서거나 교육환경이 좋은 타국으로 이민을 가는 등 광풍처럼 휘몰아친 사교육 열풍에 공교육은 힘없이 스러지고 강남의 학원가는 쾌재를 불렀.......을리는 없고(-.-; 워워~ 안드로메다~) 공교육기관인 향교의 입지가 크게 흔들렸다.
하지만 섬이라는 지리적 특성상 쓰나미 마냥 조선팔도를 휩쓴 사교육 열풍에서 제주는 일종의 안전지대였고 서원이 전무했던 무주공산에서 제주향교는 유학의 본원으로서의 역할을 아주 오~~~~~랫 동안 수행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신분제도가 폐지된 갑오개혁 이후부터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책, 노비등을 지원받을 수 없게 됨에 따라 기존의 교육기능은 대부분 사라지고 선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으로 남아 현재 까지 그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현유의 위패를 봉안·배향하고 지방민을 교육시키기 위함’ 이라는 건립목적에서도 알 수 있듯 이 곳 제주향교에는 성인들의 위패를 모시는 건물들이 자리하고 있는데 정면 5칸 측면 4칸으로 이뤄진 대성전에는 공자를 중심으로 안자, 증자, 자사, 맹자 등 5성(五聖)과 공문 10철(十哲), 송조 6현(宋朝 六賢),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돼 있다. 또한 매년 봄·가을이면 두 차례에 걸쳐 석천제가 봉행되기도 한다.
철종 5년(1854년)에 지어진 계성사는 정면 5칸 측면 4칸의 초익공 집으로 제국공공숙양흘(공자 아버지), 공부후안무요(안자 아버지), 래무후 증점(증자 아버지), 사수후 공상음(자사 아버지), 주국공 맹격(맹자 아버지)등 5성(五聖)의 아버지 위패가 고이 모셔져 있다.
이밖에도 명유들로부터 예를 배우며 학문을 닦았던 명륜당과 진사청등이 아직까지 남아 있다.

【제주향교】
▲ 지정번호: 제주도 유형문화제 제2호
▲ 지정년월일: 1971년 8월 26일
▲ 소재지: 제주시 용담1동 298번지